top of page

■ 댓글이더냐? 뎃글이더냐? ■

작성자 사진: 서와서와

■ 댓글이더냐? 뎃글이더냐? ■


한글학자라 자칭하는 족속들이 하는짓은

참으로 과관이 아닐수없다.


여러분께서는 《댓글》이 논리적으로 맞겠습니까?

《뎃글》이 논리적으로 맞는 표기 이겠습니까?


결론 부터 말씀드리자면 《뎃글이 바른표기》입니다.

왜겠습네까 ?


이족속들은 우리 韓族의 의미문자 텬자문을 포기한

족속들입니다.


그러고서 유식한체 하려 단 두자 댓글이란 용어에 텬자문을

박아 넣습니다.


對 + ㅅ 그리고 글이란 용어가 합쳐져 합성어 댓글이 되었답니다.


보시다시피 ㅅ은 그냥 발음상 아무 의미 없이 붙였다는것은 다들 아실겁니다.

그러기에 사전적 뜻 해석에 아무 내용이 없습니다.


그러면 대(對)자의 사전적 뜻을 보시겠습니다.


1.

대하다(對--), 마주하다

2.

대답하다(對答--)

3.

대조하다(對照--), 맞추어 보다

4.

짝짓다, 합치다(合--)

5.

대조하다(對照--), 맞추어 보다

6.

맞다, 정상적이다(正常的--)

7.

만나다

8.

섞다, 혼합하다(混合--: 뒤섞어서 한데 합하다)

9.

상대(相對), 맞수(힘, 재주, 기량 따위가 서로 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상대)

10.

짝, 배우자(配偶者)

11.

대구(對句)

12.

벌(옷을 세는 단위)

13.

쌍(두 짝으로 이루어 진 것의 단위)

14.

문체(文體)의 이름

15.

대(對)하여


위의 사전적 뜻을 살펴보면 《대답하다,답변하다》는 취지로

의미를 부여해 바른표기법이라고 정립해 놓았다는 것을 알수있습니다.


《뎃글》의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상식은 답글을 다는 형식이 아닌

인터넷이 보급화되며 뉴스미디어 및 SNS등에 게시된 글에

각자의 감정표현,문구,이모티콘,본인의 의사등을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

짧막하게 덧붙치어져 이어져 달아지는 글귀를 말하는것입니다.



바른표기인 《뎃글》을 파자하면 더+ㅣ+ㅅ 이며

더는 소리글씨 《더하다,추가하다》의 뜻을 지니며

이+ㅅ는 잇으로 《잇는다 ,연결되다,이어지다》

는 뜻을 지니게됩니다.



《뎃글》이 논리적으로 바른표기 이며

《덧붙춰져 이어진 글》이란 사전적 뜻을 지니게됩니다.




잉글리쉬의 reply(말이붙여지다,이어지다,반복되어 층층이 겹쳐짐,ply는 조선어 풀이 와 같습니다.운세풀이하다.반복해서 말이 덧붙다)는 어휘적 한계에 따른 포괄적 의미이나

어휘가 풍부한 조선어는 그 글귀를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해

의미해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용어로 선정해 정립할수있습니다.


영문 번역해 답글 껴맞춰서 대답할대(對)에 글자 더해 대글?

이상하네? 발음상 댓글로 해! 뭐 이정도 인것같습니다.



조선글씨어원연구회

https://www.gelssi.com/

 
 
 

최근 게시물

전체 보기

《어원(etymology) 으로 파헤친 단막극 역사의 결론》

《어원(etymology) 으로 파헤친 단막극 역사의 결론》 조선왕조실록은 고려사대전 편집 카피본이며 대조선은 서구가 대명 대청등 여러 역사로 쪼갠 흔적중에 하나입니다. 약 5,000년간 韓(khan)이 다스린 세상이 있었습니다....

コメント


bottom of page